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Tags
- 동적타이핑
- 덧셈 암호
- 개인정보보호위원회
- 모듈러 연산
- 곱셈 암호
- 마감임박
- 개인정보안전성
-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기자단
- 백엔드입문
- 개인정보보호교육
- function scope
- 호이스팅
- 포너블
- 한국산업인력공단
- 무료교육
- 웹 프레임워크
- arrow function
- Writeup
- node.js
-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
- 디오판투스 알고리즘
- package.json
- 백엔드
-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
- 가명정보처리
- package-lock.json
- 개인정보보호
-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
- 유클리드_알고리즘
- pwnable.tw
Archives
- Today
- Total
짱짱해커가 되고 싶은 나
[Collision] Writeup 본문
col.c 코드를 분석해보면 main의 첫번째 조건문에서 argc는 2이상이어야 한다.
즉, 하나이상의 argv를 입력하면 된다. 기본적으로 argc=1로 path가 들어가기 때문이다.
2번째 조건문에서는 argv[1]의 길이가 20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.
3번째 조건문에서는 argv[1]을 check_password함수에 넣었을 때의 결과가 hashcode와 같으면 flag를 cat할 수 있다.
check_password함수를 보면 argv의 배열을 5부분으로 더해서 return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
hashcode 를 5로 나누면 113626824*4 + 113626828이 된다.
그런데 총 길이가 20이어야 하므로 hex로 변환하면 0x06c5cecc *1 + 0x06c5cec8 *4 가 된다.
리눅스에서 hex값은 little endian으로 뒤에서부터 2씩 끊어서 들어가기 때문에
\xc8\xc3\xc5\x06*4 \xcc\xce\c5\x06 의 형식으로 argv에 넣어주면 된다.
'pwnable > pwnable.k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andom] Writeup (0) | 2020.05.21 |
---|---|
[passcode] Writeup (0) | 2020.05.21 |
[flag] Writeup (0) | 2020.05.21 |
[bof] Writeup (0) | 2020.05.20 |
[fd] writeup (0) | 2020.01.01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