짱짱해커가 되고 싶은 나

02. 자료형 본문

programming/c

02. 자료형

동로시 2019. 2. 3. 16:11

정수형(char, short, int, long, long long)

 ex. %d %ld %lld %u %lu %llu %o(8진수) %x(16진수)

+) <limits.h> <stdint.h> 

+) signed < unsigned : unsigned가 상위 랭커로 연산을 섞어 했을 경우 결과는 unsigned형태.

> 정수형의 오버플로우 & 언더플로우

: signed - ov) 최소값(음수)부터 다시 시작 un) 최대값(양수)부터 작아짐

  unsigned - ov) 0부터 다시 시작 un) 최대값부터 작아짐



실수형(float, double, long double)


ex. %f %lf %e %le


+) <float.h>


+) 지수 표기법

 : 아주 큰 숫자나 아주 작은 숫자를 표기할 때 사용.

   실수e+지수, 실수e-지수 (지수가 양수일때 +생략 가능 ex. 3.e5 )


+) 부동 소수점

부동소수점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


float 타입은 실수 데이터를 32비트 부동소수점 형식으로 저장한다. 

실수 =  (가수)×(기수)(지수) : 유효 숫자를 사용한 곱셈 형식으로 표현

(고정 소수점 = 정수.소수 로 표현)

부호 - 양수 : 0 음수 : 1

부동 소수점의 연산에서 교환 법칙은 성립하나 결합 법칙, 분배 법칙은 성립하지 않는다.


ex) 123.8125

부호 : s = 0(양수) (1bits)

이진수 변환 : 123.8125 -> 1111011.1101

소수점 이동 : 1.1110111101 (좌로 6칸 이동)

 -> M = 1110 1111 0100 0000 0000 000 (23bits)

     E - X = 6 , X = 127 -> E =133 = 1000 0101 (8bits)

-> 123.8125 = 0 1000 0101 1110 1111 0100 0000 0000 000



> 실수형의 오버플로우 : inf  실수형의 언더플로우 : 0 or 쓰레기값


문자형(char, unsigned char)


문자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저장

ex. %c %s


+) 아스키 코드


+) scanf_s(" %c",&a,1);

%c 앞의 공백 : 입력 버퍼 앞의 공백이나 개행문자를 제거하기 위해




'programming > 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 공부 계획  (0) 2019.02.03
01.C언어란?  (0) 2019.02.02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