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곱셈 암호
- package-lock.json
- 백엔드
- 마감임박
- 모듈러 연산
- pwnable.tw
-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
- 무료교육
-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
- function scope
- 동적타이핑
- 유클리드_알고리즘
- 호이스팅
-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
- 개인정보안전성
- 한국산업인력공단
- node.js
- package.json
- 개인정보보호교육
- 덧셈 암호
- 개인정보보호위원회
- 포너블
- 가명정보처리
- 웹 프레임워크
- 개인정보보호
-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기자단
- arrow function
- 백엔드입문
- 디오판투스 알고리즘
- Writeup
- Today
- Total
짱짱해커가 되고 싶은 나
02. GitHub 본문
GitHub :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작업하던 내용을 그대로 외부의 컴퓨터에 전송 가능
즉, 레포지토리(프로젝트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변경 이력이 담겨 있음)를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
그러면 외부 컴퓨터에서 작업과 버전 관리 가능.
GitHub에서 만든 레포지토리를 원격 레포지토리/리모트 레포지토리라고 한다.
실제 컴퓨터에 있는 레포지토리는 로컬 레포지토리라고 한다.
GitHub에서 레포지토리를 만들면 업로드 방법에 대한 설명이 나와있다.
remote : 원격 레포지토리에 관한 작업을 할 때 사용
add : 새로운 레포지토리 등록
origin url : url의 리모트 레포지토리를 orgin이라는 이름으로 등록한다.
git push -u origin master : 로컬 레포지토리에 있는 master 브랜치의 내용을 orgin이라는 리모트 레포지토리로 보낸다.
-u : upstream 옵션으로 로컬 레포지토리에 있는 master 브랜치가 origin에 있는 master브랜치를 트랙킹한다.
만약 이 옵션을 주지 않으면 git push orign master:master 의 형식으로 사용해야한다.
첫번째 master는 로컬 레포지토리의 master 브랜치이고 뒤에 master는 리모트 레포지토리의 master브랜치다.
log를 봤을 때 (master)는 로컬이고 (origin/master)는 리모트이다.
git push : 변경된 로컬 레포지토리에서 commit한 내용을 추가 가능
git pull : 리모트 레포지토리에서 새로운 내용이 commit되어 있을 때 그 내용을 로컬 레포지토리로 추가
git push는 리모트 레포지토리의 주인, 본인만 할 수 있는데 이 외의 다른 사용자도 할 수 있게 하려면 Settings에서 collaborator를 추가해야한다.
리모트 레포지토리를 사용하는 이유는 같은 레포지토리가 하나 더 생겨서 더 안전해지고, 다른 개발자들과의 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.
+ GitHub는 파일 이름이 README이면 내용을 바로 보여준다.
md 확장자는 markdown의 줄임말로 자동으로 HTML 태그로 전환 될 수 있는 문법이다.
guides.github.com/features/mastering-markdown/
git clone 주소 : 다른 프로젝트의 리모트 레포지토리를 복제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4. Git (0) | 2021.03.27 |
---|---|
03. Git (0) | 2021.03.26 |
01. Git (0) | 2021.03.25 |
[HTML/CSS] 쇼핑몰 구현 (0) | 2021.03.09 |
[HTML/CSS] 포지션 (0) | 2021.03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