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백엔드입문
- pwnable.tw
- package.json
- Writeup
- package-lock.json
- 가명정보처리
-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
- 개인정보보호
- 무료교육
- 동적타이핑
-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
- 개인정보보호교육
- 개인정보안전성
- 포너블
- 웹 프레임워크
- 곱셈 암호
- 덧셈 암호
- 호이스팅
-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
- 백엔드
- 마감임박
- function scope
- arrow function
- 개인정보보호위원회
- 디오판투스 알고리즘
-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기자단
- 한국산업인력공단
- node.js
- 모듈러 연산
- 유클리드_알고리즘
- Today
- Total
짱짱해커가 되고 싶은 나
03. Git 본문
Commit History : 여태까지 한 커밋들
git log : commit history를 보여줌, 가장 오래 된 커밋이 가장 아래에 있다.
git은 각각의 커밋에 id(해시)를 붙여서 관리한다.
commit author, date, commit message 등이 history에 들어있다.
git log --pretty=oneline : commit message만 보여주면서 한 줄로 보여준다.
HEAD는 어떤 커밋 하나를 가리키는데 보통 가장 최근에 한 커밋을 가리킨다.
working directory의 내부는 HEAD가 가리키는 커밋에 따라 다르게 구성된다.
git reset --hard commitId : 해당 커밋으로 갈 수 있으며 hard옵션은 워킹 디렉토리도 과거 커밋으로 바뀐다. (과거 커밋으로 돌아갈 수 있다) 이때 현재 커밋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git reset으로 이후의 커밋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.
git reset의 옵션은 hard, soft, mixed가 있다.
git show commitId : 해당 커밋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 세부적인 것을 보여줌 (id를 앞에 한 4자리만 해도 됨)
이전 커밋과의 차이점을 보여주는데 -는 해당 커밋 바로 이전의 모습이고 +는 해당 커밋의 모습이다.
git commit : commit 메시지를 입력할 수 있는 창을 열어준다.
이렇게 할 경우 복잡하고 긴 commit 메시지를 남기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.
파일을 고치고 add 한 뒤
git comiit --amend : 최신 커밋을 수정할 수 있다. (커밋 아이디는 바뀐다)
git config alias.history 'log --pretty=oneline'
이렇게 하면 git log --pretty=online 대신에 git history를 사용하면 된다.
git diff 이전 커밋 id 이후 커밋 id : 두 커밋 간의 차이점을 보여준다.
git tag 태그이름 커밋이름 : 해당 커밋에 태그를 달 수 있다.
git tag : 이 프로젝트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태그 조회
git show 태그이름 : 해당 태그에 연결된 커밋 조회
* 커밋 가이드라인
- 하나의 커밋에는 하나의 수정사항만 남기는 것이 좋다.
- 현재 프로젝트 디렉토리의 상태가 그 내부 전체 코드를 실행할 때 에러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 커밋을 한다.
과거 커밋이라고 해도 과거 버전의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그 커밋으로 리셋하거나 그 커밋을 기준으로 다른 프로젝트를 할 수 도있기 대문에 매 커밋의 코드들은 항상 정상 실행되는 상태의 코드여야한다.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5. Git (0) | 2021.03.28 |
---|---|
04. Git (0) | 2021.03.27 |
02. GitHub (0) | 2021.03.26 |
01. Git (0) | 2021.03.25 |
[HTML/CSS] 쇼핑몰 구현 (0) | 2021.03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