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동적타이핑
- 무료교육
- 개인정보보호교육
- 백엔드입문
- 한국산업인력공단
- 확장 유클리드 알고리즘
- arrow function
- package-lock.json
- 마감임박
-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
- 웹 프레임워크
- 개인정보안전성
- pwnable.tw
-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기자단
- function scope
- package.json
- 호이스팅
- Writeup
- 디오판투스 알고리즘
- 국가인적자원개발컨소시엄
- 유클리드_알고리즘
- 포너블
- 백엔드
- 개인정보보호
- node.js
- 모듈러 연산
- 가명정보처리
- 개인정보보호위원회
- 곱셈 암호
- 덧셈 암호
- Today
- Total
짱짱해커가 되고 싶은 나
04. Git 본문
git은 나무 모양을 하고 있는데 가장 처음 한 커밋을 root commit이라고 하고, 이 루트 커밋을 기준으로 나뭇가지가 갈라진 모양이다. (branch)
branch : 하나의 코드 관리 흐름, 프로젝트에 대한 버전으로 볼 수 있다.
마스터 브랜치 : 레포지토리를 만들고 커밋을 하면 자동으로 생기는 브랜치(기본 브랜치)
branch : 어떤 커밋을 가리키는 존재(포인터), 커밋은 이전 커밋의 정보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전 커밋으로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branch로 흐름을 관리 할 수 있는 것이다.
head : 어떤 커밋을 가리키는 존재(포인터), head는 branch를 가리키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커밋을 가리키는 것이다.
git branch 브랜치이름 : 브랜치 생성
git checkout 브랜치이름 : 브랜치 이동
-> head가 커밋을 직접 가리키도록 바꿀 수 있다. (Detached HEAD)
-> 이 상태에서 branch를 추가하고 checkout을 하면 head가 새로 생긴 브랜치를 가리키게 된다.
git checkout -b 브랜치 이름 : 브랜치 생성 및 해당 브랜치로 이동
git branch : 모든 브랜치 조회
git branch -d 브랜치이름 : 브랜치 삭제
git merge 브랜치이름 : 현재 브랜치에 다른 브랜치 머지
(헤드가 가리키던 커밋에 다른 브랜치가 가리키던 커밋을 합쳐서 새로운 커밋을 만드는 것)
-> conflict가 발생할 수 있다.
-> conflict가 발생한 부분을 원하는 코드로 생성하고 commit하면 해결
git merge -abort : 머지 취소
fast-forward merge : 새로운 커밋이 생기는 게 아니라 브랜치가 이동하게 되는 머지 (같은 라인일 경우)
3-way merge : 공통 + 머지1 + 머지2 커밋 (다른 라인일 경우)
-> base를 기준으로 달라진 부분을 우선으로 커밋한다.
<<<<< HEAD : 현재 브렌치에서 수정한 부분
======== 구분
>>>>> master : 마스터 브랜치에서 수정한 부분
'We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5. Git (0) | 2021.03.28 |
---|---|
03. Git (0) | 2021.03.26 |
02. GitHub (0) | 2021.03.26 |
01. Git (0) | 2021.03.25 |
[HTML/CSS] 쇼핑몰 구현 (0) | 2021.03.09 |